2024. 4. 18. 16:02ㆍLecture
🥕 COMMIT 소개
어제 구름 4월 COMMIT에 다녀왔다!
- 일시: 2024년 4월 17일 수 19:00 ~20:30
- 장소: 판교디지털센터 A동 901호
- 참가비: 무료
- 연사자분: 당근 사업개발 매니저 황라현 님
구름에서는 1달에 1번, 수요일마다 COMMIT(COMMUNICATION + IT 합성어)을 개최하는데,
기술, 개발, 성장, 조직 문화 등에 주제를 다룬다고 한다.
4월에는 당근의 해외 진출 고군분투기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아래 링크에서 구름에서 작성한 소개글 확인할 수 있다.
👉 4월 COMMIT 소개: 당근 해외 진출 고군분투기
[오프라인/마감] 당근 해외 진출 고군분투기 - goorm TechBlog
4월 COMMIT에서는 런던에서 진행된 당근의 중고 거래 서비스를 키우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을 공유합니다. 해외 시장을 넘어 국내 시장에서도 반영이 가능한 당근 사업개발 파트 황라현님
tech.goorm.io
일단 후기부터 말해보자면,
연사자분의 전달력, 강의 내용이 알차서 1시간 30분을 너무나 재밌고 알차게 잘 보내고 왔다.
2020년 이미 국내에서 기반을 다진 당근이 해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을 취했는지를 생생하게 전달받을 수 있었다.
또한, 성공적인 해외 시장 진출에 큰 영향을 끼친 것 중, 나에게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당근 사내 문화(회고)였다.(PART 3. 참조)
강의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강의 중, 촬영이 안되고 강의 자료도 공유가 되지 않는다고 들어 최대한 열심히 필기✍️)
- PART 1. 서울에서의 1년(코로나 시기로 한국에서의 경험)
- PART 2. 런던 진출(런던 출장 기간 동안 현지에서의 경험)
- PART 3. 해외 진출 101(해외 진출할 때 핵심 RECIPE)
글 마지막에는 연사분이 런던 시장을 공략하며 작성하신 생생한 글 링크🔗도 공유했습니다아~
아래부터는 본격적인 강의 내용입니다!!
🥕🥕 강의 내용
당근 🥕글로벌 비전(Karrot)
당근은 '당신의 근처'라는 뜻을 갖고 있다고 한다(처음 알았다..)
현재는 국내를 비롯해 해외의 경우,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까지 진출해 있다.
해외 시장에서는 서비스명은 'Karrot'이라고 한다
Part 1. 서울에서의 1년
- 2020년 말, 코로나 영향으로 온라인으로 모든 것 진행
서울에서 영국 당근을 키우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했을까?
1. 한국의 성공 방정식 → 영국 현지 시장에 적용(✅)
- 당시 한국 월간 사용자 1,000만 명
- 한국에서 잘된 방식을 영국 현지에 맞게 각색
2. 한국과 다른 영국 시장 특화된 방식 찾기
➡️ 당근은 1번 방식을 취함
그렇다면, 한국에서 당근의 성공을 이끈 방식은 뭐였을까?
1️⃣ 처음에 판교 장터로 시작 → 당근 마켓(당신 방법에 맞게). 직장인, 주민, 육아맘 타겟
2️⃣ N사 맘카페 플랫폼 침투
3️⃣ 디지털 광고(페이스북, 구글) → 똑똑하게 많이 태움
영국에서 같은 전략 먹힐지 어떻게 검증?
- 한국 vs 영국 비교한 5가지 방식
1️⃣ 중고거래 문화
- (한국) 지난 10년간 5배 이상 빠르게 중고거래 시장이 커온 국내와 달리,
- (영국) 영국인들은 오래전부터 중고거래가 생활 깊숙이 자리 잡은 편이었음
➡️ 💪영국 시장 문화와 맞는 제품 가진 당근에게 기회)
2️⃣ 경쟁
- (한국) 당근 창업 초기 대부분 중고거래는 카페 중고나라에서 이뤄지던 국내와 달리
- (영국) 영국엔 온. 오프라인 모두 경쟁이 치열했음(온라인 플레이어, 오프라인 플레이어 모두)
- 온라인 - gumtree, olio, octopus, facebook 등
- 오프라인 car boot sale, vintage markets, charity shops
➡️ 💪경쟁사 대비 차별점이 있어야만 하는 도전 과제)
3️⃣ 지역/인구 분포
- 한국
- 수도권, 한국 전체 인구 50% 차지
- 단일 민족 특성상 지역별 생활 패턴이 크게 다루지 않은 편
- 런던, 영국 전체 인구 13.4%
- 도시마다, 같은 도시 안에서도 동네마다 문화/특성이 다름 영국
➡️ 💪 빠르게 지역 확장할 수 있는 전략이 있어야 하는 도전 과제
4️⃣ 고객
- 한국: 당근의 초기 핵심 고객은 3040 젊은 육아맘. 영국도 엄마들이 핵심 사용자
- 영국 엄마들의 커뮤니티
- 온라인: local facebook group
- 오프라인: NCT, Preschool, 학교
5️⃣ 마케팅
- (한국) 한국은 육아맘 공략 + 디지털 광고
- (영국)
- 온라인 마케팅도 있긴 하지만
- 오프라인 광고 많이 본다는 유저들의 목소리(지하철, 버스 광고. 특징? 줄글이 많음. ⭐️ 영국 지하철 버스에서 핸드폰 보기보다 광고를 읽고 있음. 와이파이가 잘 안돼서⭐️ )
➡️ 💪 온라인 마케팅으로 성장한 당근에게 오프라인은 새로운 도전
영국 시장진입전략 1줄 요약
- 중고거래 문화 → 👍기회 영역
- 경쟁 →💪 도전 과제
- 지역.인구 → 💪도전 과제
- 고객 → 👍기회 영역
- 마케팅 → 💪도전 과제
→ 캐럿의 차별점을 전략 지역 유저에게 영국에서 먹히는 방식으로 전달
Part 2. 런던 실전
경쟁 심한 영국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3가지 전략
1️⃣ 중고거래 친숙한 유저에게 차별점 내세우기
2️⃣ 강남/판교와 비슷한 특징의 동네 공략
3️⃣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잘 배합
1️⃣ 중고거래 친숙한 유저에게 차별점 내세우기
- 온라인, 오프라인 현지 경쟁자들 분석
- 지역 기반(앱, 웹)
- 버티컬 특호
- 엄마들 전용
- 오프라인
2가지 가설
A) 유저들에게 보상 주면 경쟁사에서 넘어올 것
👉 보상 금액, 형태에 따른 전환율 비교
👉 구매 vs 판매에 대한 보상
물건 3개 올리면 OO 상품권 주겠다(보상에 대한 테스트)
B) 유저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면 경쟁사에서 넘어올 것(얘가 더 건전하고 오래가는 방식)
👉 (AS -IS) 아무나 들어갈 수 있는 페북(=위험 있음, 전문판매업자)
👉 (TO-BE) 실제 동네인증을 해야 하는 캐럿(=안전, 찐 로컬)
2️⃣ 강남/판교와 비슷한 특징의 동네 공략
- 동네 단위 공략 - 런던 시장조사
- 유저 인터뷰 기반 1차 동네 후보 확보
- 현지에서 2차 검증. 실제 현지에서 중고 거래 해보면서 정성적 검사 시행
- Canary Wharf - 여의도 느낌, Stratford- 판교 잠실 느낌, Wimbledon - 청담동 느낌, Crystal palace - 성수 느낌
[한국에서 잘된 지역 특징]
a) 강남, 판교
- 교통이 편함
- 유동인구 많음
- 치안 좋음
- 엄마들이 많음
b) 제주
- 커뮤니티 결속이 강함
3️⃣ 온오프라인 마케팅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제일 많이 신경 쓴 부분
(온라인) 서울에서 진행
(오프라인) 저비용 - 커뮤니티 제휴, 고비용 - 업체 제휴, 전단지, 옥외 광고
1. H Mart 제휴
- 우리나라 이마트 느낌
- 과정: 준비 기간 2달. 2일 전, 추가 알바 3명 채용. 3일간 캐럿 가입 시, H mart 5파운드 상품권 지급
- 결과: 3일 만에 1천 명 확보. 하지만, 생각보다 지역 거주자가 없었다는 코멘트 있었음
2. 커뮤니티 제휴커뮤니티 제휴
- 육아 커뮤니티 타겟(East Village Parent Club)
- 과정: 동네 육아 커뮤니티와 제휴. 2달간 매주 1회 커뮤니티 방문. 제휴 기부 행사 1회
- 결과: 2주 만에 물품 수백 개 확보. 커뮤니티를 통한 1만 가구 대상 무료 광고 실시
Part 3. 해외 진출 101
2년 전 시행된 내용들
치열한 해외사업 생존 위해 필요한 5가지
1️⃣ 제품에 어울리는 매력적인 시장
2️⃣ 핵심 역량 활용하기
3️⃣ 현지 커뮤니티/업체 네트워크
4️⃣ 가설 검증 & 회고 문화
5️⃣ 원팀으로 일하기
1️⃣ 제품에 어울리는 매력적인 시장
해외 진출도 결국 PMF(product market fit)
- 시장에 맞는 제품 만들기
- 중고거래에 많은 사기 행위 → 캐럿
- 제품에 맞는 시장 찾기
- 1 → 100을 만들어야 하기에 해외 시장 진출에는 이게 관건이었음
- 3가지 고려
- 우리 제품에 맞는 수요/문화가 있는가
- 경쟁 강도는 어떠한가
- 지역 확장이 용이할까
- 제품을 잘 써줄 고객이 있는가(한국이나 영국이나 엄마)
- 고객 잡기 위해 어떤 노력 필요한가
2️⃣ 핵심 역량 활용하기
- 우리 제품의 핵심 기능
- 해당 기능은 시장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 경쟁사 대비 우위가 있는가
- 우리 강점은?
- 우리가 남들보다 100배, 1000배 잘하는 게 뭔지
당근에서 활용한 핵심 역량
- 당근 핵심 기능: 지역 인증
- 지역 인증을 통해 이웃끼리 거래하고
- 이웃끼리 거래하니 신뢰 가능
➡️ 경쟁사가 풀지 못한 중고거래 시장의 신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건 당근의 차별점
- 한국 당근의 폭발적인 성장 견인한 건
-
- 커뮤니티 침투
- 광고
-
- 영국 Karrot도 마찬가지
- 로컬 육아맘, 페북 그룹 공략
- 온/오프라인 광고
3️⃣ 현지 커뮤니티/업체 활용하기
- 300명 육아맘 → 1만 가구 무료 광고(getliving) → 200개 지자체 대상 데모
- 커뮤니티에 가서 육아맘 대상으로 가입 진행 → 주변 주거 커뮤니티에 홍보가 되어서 1만 명 가구에 광고비 내지 않고 무료 광고 → 스노우볼이 돼서 커져서 HACKNEY wick fish island에서 캐럿 시연할 수 있는 사업 기회들 창출
- 커뮤니티에 어떤 글 올리느냐에 따라 잘될 수도 안될 수도 하지만 공신력 있는 기관/커뮤니티 손 잡고 진행하면 좋음
- 컨택 포인트 없다? 이메일 보내고 질문도 하고 다양한 시도 해보기
4️⃣ ⭐️ 가설 검증 & 회고하기(당근 핵심 자산)⭐️
-> 개인적으로 내가 가장 공감하고, 부러웠던 당근의 문화
온오프라인 저비용 고비용 프로젝트 안 해본 것 없음
가설을 세우고 포기하지 않고 왜 안되었는지 회고하고, 회고한 것 토대로 최적화. stop, start, continue를 하는 문화
- 과연 시간, 비용, Resource 대비해 기대한 효과 났는지
-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 확장 가능성 있는지
→ 객관적으로 검토하고 발전하는
→ 해외 진출하다 보면 다양한 아이디어 떠오르는데 뭐부터 해야 할지 잘 선정하고, 했을 때 안 되면 또 해야 될까 검증해 나가는 방법
5️⃣ 원팀으로 일하기
현지팀, HQ팀이 R&R 나누지 않고 다 일함
(현지) 그로스 전략 수립/실행
(HQ) 제품 개발, 디자인
(현지 & HQ) 유저 리서치
(현지) 마켓 리서치
(현지 & HQ) 주간 미팅(그로스/프로덕트) + 전사 all-hands
(현지 & HQ) CS 대응
→ 본사, 현지 사람들 서로 이해하기 힘듦(서로 다른 환경에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자주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밖에
🥕🥕🥕 Q & A
slido.com으로 사전 질문 & 현장 질문 식으로 진행됨
내가 했던 질문은 해외 시장 진출로 영국, 캐나다, 일본 국가를 선택하게 된 이유였다.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사전 조사(국가 선정)를 하는 과정에서 경제 지표 참조를 많이 한다고 하셨다.
경제성장률을 포함한 인구밀도 등 경제 지표를 참조해
최대한 우리나라랑 비슷하거나 뛰어난 경제 수준 갖춘 국가들을 우선순위로 선발한다고 했다.
🥕🥕🥕🥕 후기
너무나도 유익한 시간이었다.
종종 리프레쉬 겸 다양한 분야의 세미나들을 신청해서 듣는데, 연사자분의 전달력이 좋고 내용도 알차고 재미있어 집중력 있게 들었다.
약 60분? 정도 참석하신 것 같았는데, 이런 주제로 또 COMMIT이 진행되면 꼭!!! 참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자리가 조금 불편했다..(등받이가 없어서 그랬는데 원래 허리가 안 좋은 사람이긴 해유..)
간단한 다과도 준비해 주셔서 좋았다!
좋은 자리를 마련해 준 구름 COMMIT, 양질의 강의를 전달해 주신 황라현님께 너무나도 감사했다🙏
![]() |
![]() |
![]() |
참고
👉 황라현님 해외 진출 후기: https://linktr.ee/lauriehwang
Laurie Hwang | Instagram | Linktree
startup bizdev by day and career consultant by night
linktr.ee
👉 [당근] 해외 당근마켓에는 OOOO가 없다(2022.08.23)
해외 당근마켓에는 OOOO가 없다 | 당근 블로그
당근 팀이 일하는 문화와 방식을 소개해요.
about.daangn.com
위에 글은 그냥 재밌어서 공유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TECH SUMMIT 2023] SKT LLM Enterprise 서비스 1편 (3) | 2024.07.10 |
---|---|
[랭체인 코리아 밋업 2024 Q2] 테디노트_초보자도 할 수 있는 고급 RAG: 다중 에이전트와 LangGraph 제작 (4) | 2024.07.03 |
[랭체인 코리아 밋업 2024 Q2] NaiveRAG부터 Advanced RAG 톺아보기(with code) (2) | 2024.07.02 |
[SK TECH SUMMIT 2023] LLM의 미래 - KGPT(AI KMS)와 sLLM 소개 (0) | 2024.05.09 |
[SK TECH SUMMIT 2023] RAG를 위한 Retriever 전략 (2) | 2024.05.05 |